Investment

재무제표 - 현금흐름표는 왜 있는가

Infinite Loops 2024. 3. 23. 15:38
반응형

재무제표 강의를 듣고 왔는데, 카페 어느 분이 현금흐름표에 대해 강의를 부탁하셨다.

물론 강의를 할 정도로 깊은 이해는 없지만, 요청하신 항목별로 일단 써 보겠다.

 

어떤 회사의 경영 성과와 상황을 보여주는 정보 중 회사 외부 관련자들(투자자, 정부)에게 공유(공시)해주는 정보를 재무제표라고 칭한다.

재무제표는 재무상태표, 현금흐름표, 손익계산서, 자본변동표 등으로 나뉘어져 있다.

 

이때 재무상태표는 발생주의, 현금흐름표는 현금주의에 기반하여 기록된다.

 

그렇다면 발생주의, 현금주의는 무엇이냐..

2023년 12월 31일 단골 손님이 동네 마트 가서 담배 한갑을 외상으로 사고 내일 준다고 했다 치자.

이때 동네 마트는 2023년에 판매한 것으로 치고 매출로 기록한다.

따라서 2023년 재무상태표에는 포함된다.  

하지만 실제 돈은 안받았으니 2023년 현금흐름표에는 기록하지 않고, 다음날 2024년 1월 1일에 받았다면 2024년 현금흐름표에 기록된다.

이것이 현금주의이다.

 

이쯤에서 궁금한 점이 있을텐데 아래 이야기부터 읽어보자.

알고보니 2023년까지 2억원 매출을 올리면 마트 사모님이 마트 사장님에게 플레이스테이션5를 사주기로 했다.

2023년 12월 31일 23시 59분인데, 2억원까지는 4500원이 부족한 상황... 때마침 동네 친한 손님이 마트 앞을 지나간다.

사장님은 급히 불러서 지금 외상으로 담배 한 갑  사간 것으로 해주기만 하면, 사탕 한 개 주겠다고 부탁한다.

손님은 와이 낫~ 콜~ 후에 사탕 한개 얻어가고, 사장은 2023년 매출 2억을 찍고 다음날 플레이스테이션을 사러 간다.  

여기서, 사모님은 실제 돈통을 확인하지 않는 한, 무슨 일이 있었는지 알 길이 없다.

그래서 사모님이 모르는 부분이 없도록, 실제 돈통(현금)에 들락날락한 것을 기록한 것이 현금주의에 기반한 현금흐름표이다.

 

그럼 마트 현금흐름표에 2억원어치 돈이 오고 간 것을 다 적느냐... 네 모두 적는 것을 직접법이라고 한다.

너무 건수가 많아서 정리, 계산도 어려우니, 어느 정도 1차 정리된 것(당기순이익)에서부터 출발하는 것이 간접법이다.

이해를 돕기 위해 생성형 AI (저는 Google 주주니까 ChatGPT 말고 Gemini)에게 물어서 붙인 답변이다.

재무제표에서 직접법을 사용하지 않고 간접법을 사용하는 이유에 대해 설명해줘

답안 표시


재무제표에서 직접법 대신 간접법을 사용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편리성

간접법은 손익계산서의 정보를 활용하여 현금흐름표를 작성하기 때문에 직접법에 비해 작성 과정이 훨씬 편리합니다. 직접법은 모든 영업거래를 현금 입출금과 연결하여 기록해야 하는 반면, 간접법은 손익계산서의 항목들을 조정하여 현금흐름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2. 정확성 확보

직접법은 모든 거래를 현금 기준으로 기록해야 하기 때문에 실제 현금 흐름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외상 거래의 경우 직접법은 상품 판매 당시 현금 수령을 기록하지만, 실제로는 거래 후 일정 기간 후에 현금을 수령하게 됩니다. 반면, 간접법은 외상 거래의 경우 현금 수령 시점을 반영하여 정확한 현금 흐름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3. 정보의 비교 가능성 제고

간접법은 손익계산서와 연결되어 작성되기 때문에 재무제표 간 정보의 비교가 용이합니다. 직접법은 손익계산서와 다른 기준으로 작성되기 때문에 재무제표 간 비교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4. 국제 회계 기준 준수

현재 국제 회계 기준(IFRS)에서는 현금흐름표 작성에 있어서 직접법과 간접법 중 선택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업들은 간접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는 IFRS의 기준에도 부합합니다.

5. 정보의 가치

직접법은 현금 흐름에 대한 정보를 직접적으로 제공하지만, 간접법은 손익계산서와 연결되어 현금 흐름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기업의 수익성과 운영 능력에 대한 정보도 제공합니다. 따라서, 간접법은 투자자와 채권자에게 더 유용한 정보로 평가됩니다.

6. 비용 절감

직접법은 모든 거래를 현금 기준으로 기록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됩니다. 반면, 간접법은 손익계산서의 정보를 활용하기 때문에 비용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7. 실무 적용성

대부분의 기업들은 이미 간접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직접법으로 전환하는 데에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됩니다. 따라서, 실무적인 측면에서 간접법을 사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입니다.

8. 정보의 신뢰성

직접법은 현금 흐름에 대한 정보를 직접적으로 제공하지만, 정보의 신뢰성에 대한 우려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기업들은 현금 흐름을 조작하기 위해 직접법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반면, 간접법은 손익계산서와 연결되어 작성되기 때문에 정보의 신뢰성이 더 높다고 평가됩니다.

9. 정보의 과부하

직접법은 모든 거래를 현금 기준으로 기록하기 때문에 정보 과부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면, 간접법은 손익계산서의 정보를 활용하여 정보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10. 정보의 간결성

직접법은 모든 거래를 현금 기준으로 기록하기 때문에 정보가 복잡하고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반면, 간접법은 손익계산서의 정보를 활용하여 정보를 간결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대부분의 기업들은 재무제표에서 직접법 대신 간접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참고자료

IFRS 10: Cash Flow Statements
FASB ASC 230: Cash Flow Statements

 

 

 

 

반응형

'Investme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ime medicine  (0) 2024.12.17
공매도 금지 후 주식 급등  (0) 2023.11.06
CRISPR 크리스퍼 치료제 승인 심사 중  (0) 2023.11.06
Base editor vs Prime editor  (0) 2023.10.02
Bio science study, 1) CRISPR-cas9, cas12  (0) 2023.09.28